다문화탈북학생_멘토링_사업_계획
|
|
국가 근로장학사업과 연계한 2012년도 다문화⦁탈북학생 멘토링 사업 계획 |
|
|
|
2012. 5.
|
|
차 례 |
|
|
|
Ⅰ. 사업 개요1
II. 주요내용2
III. 각 주체별, 기관별 역할5
IⅤ.세부 운영 계획7
1. 사업 수행대학 및 멘토 7
2. 멘티 선발 및 매칭8
3. 멘토링 운영9
4. 장학금 지급(장학사업부)11
V. 멘토링 강화방안12
1. 운영 프로세스 및 시스템 개선12
2. 교육지원체계 강화14
3. 네트워크 강화14
Ⅵ. 향후 일정 및 소요 예산15
※ 붙임 자료. 사업추진관련 각종양식(각 1부) 포함
Ⅰ. 사업 개요 |
○ 다문화․탈북 학생 학교생활 적응 강화 및 기초학력 향상
* 연도별 다문화학생 추이 : 20,180(’08)→ 26,015(‘09)→ 31,788(’10)→ 38,678(’11)
* 연도별 탈북학생 추이 : 966(’08)→1,143(’09)→1,471(’10)→1,681(’11)
○ 대학생의 다문화 감수성 및 봉사의식 제고
◈ 그 간의 다문화학생 대학생멘토 추진성과 ◈ ◦ ‘09년 : 국고 22억 예산, 13개 대학의 3,457명 멘토 참여 ◦ ‘10년 : 국고 15억 예산, 13개 대학의 2,335명 멘토 참여 ◦ ‘11년 : 국고 30억 예산, 42개 대학의 3,952명 멘토 참여 |
○ (성과목표) 다문화학생 기초학력 미달비율 2%대 진입*
* (’11) 3.1% (초1.7%, 중4.9%, 고3.2%) → (’12) 2%대 → (’13) 1%대 진입
○ (대학 및 멘토) 47개 대학 4,500명이상 대학생
○ (멘티 선정․관리) 담임선생님이 기초학력미달 학생을 우선 선정하여 교육청에 추천하고 다문화전담 코디네이터가 매칭관리
* '12년부터는 탈북학생의 경우도 멘티로 선정 가능
○ (멘토링 운영) 학기중 및 방학기간 정기적으로 운영하여 연간 120시간 내외로 함 (1일 4시간 이내)
○ 교과부 : 기본계획 수립 및 총괄
○ 시․도교육청 및 학교 : 멘티학생 선정 및 기초학력 향상 관리
○ 한국장학재단 및 대학 : 멘토 대학생 선정 및 관리
* '12년도 멘토링 예산 : 국고 50억(국가근로장학금) 및 특별교부금(11억)
Ⅱ. 주요 내용 |
구분 |
’11년 |
|
’12년 |
|
지원 대학 |
○ 전국 42개 대학 |
○ 전국 47개 대학(40개대* + 7개대**) * 11년도 사업대학(2개교 포기) ** 멘티참여율(1.4%) 저조한 경기지역 대학 |
||
멘토 |
○ 3,952명 |
○ 4,500명내외 |
||
멘티 |
○다문화 학생(초․중) |
○다문화․탈북 학생(초․중․고) |
||
장학금 |
○시간당 단가 - 도시 1만원, 농어촌 12천원, * 온라인 멘토링 : 8천원 |
좌동 |
||
근로시간 |
○ 연간 90시간 이상 |
○ 연간 120시간 이상 * ‘11년 성과우수대학 130시간 까지 |
||
교재비 |
○ 없음 |
○ 지원비 제공 (연간 2회 제공) - 연간 8만원 한도 (멘토/멘티 교재 구입) |
||
대학생우선선발 |
○(일반요건) 학습지원, 진학상담, 롤 모델 등 다양한 역할 수행에 적합한 근면성실한 학생 소득분위 7분위 이내인 자 ☞ 지도교수 2인 이상 추천받아야 함
|
○(일반요건) 기초학력 향상을 위한 학습지원, 정서 함양 및 진학지도 등 역할 수행에 적합한 학생 (소득수준과 상관없음) ☞ 지도교수 1인 이상 추천받아야 함
|
||
사전 연수 |
○ 거점대학 지정․운영 - 재단 및 거점대학, 권역별 실시 |
좌동 |
||
멘토링 운영비 |
○대학의 대응투자*는 운영비 또는 장학 금으로 사용가능 * 대응투자금은 12% 이상 확보 ○대학 선정시 대응투자액 고려 가능 |
좌동 |
||
모니터링/ 성과관리 |
○ 대학담당자, 교수 모니터링 ○ 거점대를 통한 상시 모니터링 (재단 피드백) ○ 성과보고회 개최 (우수사례발굴) |
좌동 |
||
부정․ 허위근로 방지 방안 |
․근로장학생 관리 감독에 대한 대학의 책무성 강화 - 부정․허위근로 발생시 교부금 삭감 - 출근부 전자입력 엄격 적용 ․국가근로 계약서 및 사전 서약서 작성, 오리엔테이션 필수 실시 |
좌동 |
○ 다문화⦁탈북학생 학교생활 적응 강화 및 기초학력 향상을 위한멘토링 시간 확대(‘11년 90시간 이상→‘11년 120시간 이상)
○ 참여대학 확대를 통한 멘토풀 확대(‘11년 42개大→‘12년 47개大)
○ 사전연수, 멘토링 노하우 공유를 통한 멘토링 질(質) 향상
- 멘토링 표준가이드북 제작⦁배포 및 우수사례 전파
○ 프로세스 및 관리시스템 개선을 통한 대학 행정부담 경감
- 제출서류 및 절차 간소화, 시스템을 통한 관리
구분 |
내용 |
비고 |
멘티 수혜 확대 |
① 멘토링 시간 확대 - (’11년)90시간 → (’12년)120시간 이상 |
⦁멘티 기초학력 향상 추진 |
② 멘토링 참여대학 및 멘토 확대 - (’11년)42개대 → (’12년)47개대 - (’11년)3,592명 → (’12년)4,500명 |
⦁지식봉사대학 및 다 문화사업 수행 대학 (전문대학도 가능) |
|
③ ‘12년 온라인 멘토링 시스템 개발 및 ‘13년 농어촌지역 중심으로 전면 도입 |
⦁영남대 온라인멘토링 시스템 벤치마킹 |
|
멘토 지원 |
① 교재비 지원 - (2011년) 없음 → (2012년) 8만원/년 |
|
교육지원 체계 강화 |
① 교육 컨텐츠 강화 - 다문화멘토링 가이드북, 학습자료, 우수사례집 등 On/Off-line 컨텐츠 제공 - 멘티 성향/학습능력 진단 Tool 제공 |
|
② 우수 온라인 카페 및 블로그 활성화 |
⦁봉사넷 커뮤니티 활성화 |
|
운영 프로세스 개선 |
① 제출서류 및 절차 간소화(17종→8종) - 필수서류를 제외한 제출서류 축소 |
⦁행정부담 경감을 통한 고객만족도 제고 |
② 멘토링 관리시스템 운영 - 온라인 출근부 입력(6월말) |
||
③ 다문화멘토링 관리시스템 구축(12월말) - 수기관리 → 시스템 관리 |
||
네트워크 강화 |
① 멘토링 관계자 소통강화 - 간담회 개최(대학, 유관기관, 멘토) |
⦁멘토링 사업 노하우 공유 및 유기적 사업체계 구축 |
(⟰는 협조를 의미함)
대학선정 / 예산배분 / 사전연수 |
➪ |
활동관리 / 성과관리 / 정산 |
|||||||
인재육성지원부 |
장학사업부 |
인재육성지원부 |
장학사업부 |
||||||
1. 대학선정 - 신청서 접수 - 총 47개 대 4. 사전연수 - 사전교육자료 제작‧배포 - 거점대* 사전연수 ⟰
|
2. 예산배분‧지급 - 대학별 예산배분 및 지급 3. 멘토선발, 매칭 - 학교별 멘토선발 협조 - 소득분위확인 등 - 멘토-멘티 매칭 ⟰
|
5. 모니터링 - 거점대를 통한 피드백 및 현장 방문 - 멘토링 관련 노하우 공유 - 상시 Q&A 운영 7. 시스템 개선 - 온라인 멘토링 시스템 구축 - 대학생 멘토링 관리 시스템 구축 ⟰
9. 성과보고회 개최 - 우수사례 전파 - 개선점 도출 - 결과보고 ⟰
|
6. 장학금 지급 및 교부, 운영실태 점검 - 시스템 확인 - 출근부 관리 - 허위근로 관리 ⟰
8. 정산 - 근로장학금 지급 관련 정산 - 정산 결과보고 ⟰
|
※ 단, 모든 프로세스는 양 부서에 공유, 피드백을 하며 진행함
○ 다문화학생 교육 선진화방안
(교과부 교육복지과-1001, 2012.3.2, 장관결재)
○ 2012년도 대학생 멘토링 계획
(교과부 교육복지과-2129, 2012.5.2, 차관결재)
○ 2012년도 1학기 국가 및 재단 장학사업(국가근로장학금)시행안내 (재단 장학사업부-524, 2012.1.19)
※ 본 계획서에 명시되지 않은 부분은 위 관련근거 및 운영지침을 따름
Ⅲ. 각 주체별, 기관별 역할 |
항 목 |
내 용 |
교육과학 기술부 |
◦ 기본계획 수립 및 총괄 ◦ 멘토링 추진 예산확보ㆍ지원ㆍ상황 평가 및 점검 |
한국 장학재단 |
◦ 시행계획 수립, 사업대상 대학 선정, 사전연수 및 모니터링, 성과관리 (인재육성지원부) ◦ 예산배분(국가근로장학금), 멘토선발 관리, 장학금 교부 운영 실태 점검, 장학금 지급 및 정산 (장학사업부) |
거점대* |
◦권역별 사전교육 실시, 멘토-멘티 캠프 진행, 수기공모전, 지역 대학교 이슈사항 상시 점검 및 재단 보고 * 수도권(경인교대), 충청권(공주교대), 영남권(부산대 및 영남대), 호남권(광주교대) |
대학 |
[개요] 멘토 선발‧관리 및 사전교육 실시, 장학금 지급‧정산, 멘토 관 련 서류 수합‧확인 및 제출 등 소속 대학 멘토링 참여 학생에 대 한 관리 등 [멘토 선발] 멘토 선발 기준에 따라 선발하여, 신청서 관련 서류 제출 ◦ 신청서 원본은 대학교에 보관하며, 제출요구시 재단 공문 제출 ※ 멘토가 제출해야할 모든 서류는 멘토링관리시스템에 등록함 ◦ 신청서류 각 1부(붙임참조) - 신청서, 지도교수 추천서, 개인(신용)정보 수집⦁이용⦁제공 및 조회동의서 [출근부 관리] ◦ 대학은 장학생들이 근로한 내용을 본인이 출근부(온라인, 오프라인)에 기재하도록 지도해야 함 ※ 출근부 서식(붙임1.〔양식4〕국가근로장학생 출근부) 활용 ◦ 근로 후 5일 이내에 근로한 내용을 한국장학재단 온라인출근부(멘토링 관리시스템)에 입력 하도록 지도 ※근로 후 5일이 지나면 장학생의 출근부 온라인 입력이 불가 ◦ 각 해당학교(초․중․고) 담당자 또는 멘토링 진행 장소의 책 임자 및 담당자의 결재를 득한 학생출근부와 멘토학생이 입력한 온라인 출근부 확인 및 보관 ※ 담당자 및 책임자의 결재가 없는 출근부의 근로 내용은 인정 하지 않음 ◦ 근로시간은 반드시 시간 단위로 해야함(분단위 근로 인정 안함) [결과보고서-반기별 운영 보고서] 각 대학에서 재단으로 제출(年 2회) ◦ 주요내용 - 우수사례, 멘토링 고충사항 및 개선필요 부분 - 장학금 교부 및 집행내역(정산서) [멘토 교체] 멘토링 진행 중 멘토 교체시, 교체된 멘토의 선발 프로세스는 기존 멘토 선발 프로세스와 동일함(제출서류 포함) [멘토 증감] 대학, 교육청 사정에 따라 멘토 증감이 필요할 경우에는 ‘사업계획 변경 신청’ 을 사유와 함께 재단에 공문으로 제출 |
멘토(대학생) |
◦ 국가근로장학사업 관련 규정 숙지, 성실한 멘토링 활동 ◦ 멘토링 관련 서류 작성 및 제출 - 신청서, 활동계획서, 출근부, 주간활동일기, 최종활동보고서 ◦ 재단, 거점대, 대학 주최 사전연수 및 멘토-멘티 캠프 참가 ◦ 멘토링 활동 관련 이슈 사항 대학 상시 보고 등 피드백 ◦ 이슈사항(고충사항 등) 대학 담당자와 재단 봉사넷 카페에 공유 |
교육(지원)청 |
◦ 멘티 선발 및 멘토-멘티 매칭 협조, 멘토-멘티 캠프 협조 ◦ 멘토링 관련 지원(예산, 장소, 안전교육 등) - 다문화⦁탈북학생이 많은 대상 학교, 멘티 선정, 안전교육 실시 - 멘토링 장소 제공 등 ◦ 멘토링 추진 상황 점검 |
멘티학교 (멘토링기관)담당자 |
◦ 멘토링 장소 제공 및 원활한 진행 협조 ◦ 멘토서류확인(활동계획서,출근부,주간활동일기,최종활동보고서 등) ◦ 멘토링 진행 시 이슈사항 봉사넷 카페에 공유 ◦ 근로장소 담당자 및 책임자는 근로내역에 대한 확인 및 결재를 완료한 후, 대학담당자에게 학생출근부 원본 및 해당 자료를 제 출함 |
Ⅳ. 세부 운영계획 |
1 |
|
사업수행 대학 및 멘토 |
항 목 |
운 영 방 안 |
사업수행대학 |
[선정] 47개 대학 ◦ ‘11년도 다문화멘토링 수행대학 40개(‘11년도 참여 2개대학* 포기) * 신청 포기 대학 : 부산가톨릭대, (경북) 가톨릭상지대 ◦ 경기도의 학생수가 최대이지만 멘토링 참여 실적이 전국 최저 (1.4%)인 점을 고려하여 경기지역 대학*을 대상으로 7개大 추가 선정 * 지식봉사대학 및 다문화사업 수행 대학(전문대학도 가능) ◦ 국고지원액의 12% 이상 대응투자 부담하여야 함 - 대응투자액은 멘토링 운영비 또는 장학금으로 사용가능 * 대학생 멘토에 대한 교통비 지원 가능 |
멘토 |
[자격] ‘12년도 다문화⦁탈북학생 멘토링 사업 수행대학 재학생* * 대학(교)재학생이어야 하며 휴학생이나 졸업생인 경우는 신청 불가 [일반 요건] ◦기초학력 향상을 위한 학습지원, 정서 함양 및 진학지도 등 역할 수행 에 적합한 학생(소득수준과 상관없음) * 학생 선발 시 지도교수 1인 이상 추천 받도록 함 ◦ 1년 이상 지속적으로 참여할 수 있는 학생 위주로 선발, 불가피한 사유(군입대, 질병 등) 발생의 경우에 한해 교체 가능 [우선 선발] ◦ 전년도 멘토링 참여학생, 다문화 이해 교육 강좌 수강자 (수강중인 학생 포함) 및 농어촌 지역 거주 학생(멘티) 멘토링 희망자 [인원] 대학별 신청한도(첨부3)내에서 선발 ◦ '12년도 멘토링사업 계속수행 대상인 40개 대학은 멘토 실적과 예산집행 실적을 고려하여 '12년도 사업 신청한도 부여 ◦ 멘토 참여 인원 변동 대학은 재단 승인하에 변경 가능 (해당대학은 ‘사업계획서 변경요청’ 공문을 재단으로 발송) |
멘토 혜택 |
[지원 내용] ◦ 시간당 단가 : 도시 10,000원, 농어촌 12,000원(온라인 멘토링 8,000원) ◦ 시간 : 연간 멘토링 120시간, ‘11년 성과우수대학 130시간까지 부여 ◦ 학습자료 지원비 제공 (연간 2회 제공) - 연간 8만원(멘토/멘티 교재 구입) 한도 - 교재구입 증빙자료 대학담당자에게 제출 ◦ 교내장학금과 중복 수혜 가능 (국고장학금의 경우도 시간의 중복이 없으면 수혜가능) ◦ Korment 멘토링 신청자격 부여 ※ Korment 멘토링 : CEO, 교수 등 사회지도층 인사들의 대학생 대상 멘토링 ◦ (대학) 봉사 학점 인정 (해당 대학에 한함) |
2 |
|
멘티 선발 및 매칭 |
항 목 |
운 영 방 안 |
선발 |
[대상] 다문화․탈북 학생(초․중․고) [인원] 4,500명 이상(시도교육청과 대학간 협의하에 증가가능) [선발방법] 시․도교육청별로 멘티 추천안(표2)을 기준으로 선발 ◦ 시⦁도교육청 - 전담코디네이터를 담당으로 지정․운영 - 담당선생님과 참여대학 담당자가 참여하는 워크숍․간담회 등을 개최, 멘토링 사업의 취지와 내용 등을 설명 후 멘티 선발 권장 ◦ 멘티학교 : 희망학생의 추천(담임선생님)을 받아 멘티 선발후 시․도 교육청에 추천 * 멘티 추천안은 1:1 멘토링을 기준으로 산정한 것으로 시․도교육청과 대학간 협의하여 증가 가능 [우선 선발] 기초학력미달 학생을 우선적으로 선발하며, 탈북학생은 상 기 멘티 추천(안)에 제시된 규모의 5% 이내로 우선 추천 [추천 제외] 이중수혜자 제외 ◦ 시․도교육청 자체예산과 교과부 특교예산으로 대학생 멘토링을 받고 있 는 다문화․탈북 학생은 추천 제외함 |
멘토⦁ 멘티 매칭 |
[매칭] 대학담당자가 멘토링 희망자와 시․도교육청에서 추천한 멘 티를 매칭 ◦ 교육청으로부터 멘티정보를 받아, 대학에서 멘토를 선발하여 두 기관 협조 하에 매칭 실시 - 멘토와 멘티는 同性(gender) 1:1 멘토링을 원칙으로 함 - 기초학력이 절대부족한 학생의 경우 1:2 가능함(담임선생님 추천) ※ 멘토링 유형에 따른 멘토링 인정시간에 대한 증감은 없음 |
멘티 관리 |
[시⦁도교육청] ◦ 전담코디네이터를 담당으로 지정․운영 ◦ 멘토링 수행 대학 담당자와 협의체를 구성․운영 ◦ 대학과 협력 네트워크를 구축하여 운영할 것을 권장 [각급 학교] ◦ 희망학생의 추천(담임선생님)을 받아 멘티 선발, 기초학력 미달 학생을 우선적으로 선발하여 시․도 교육청에 추천 ◦ 멘토링 대상이 5명 이상인 학교에서는 멘토링 장소 제공 협조 [장학재단 및 대학] ◦ 멘토의 멘토링 결과 정보를 멘티 담임선생님과 공유하고 쌍방향으로 의견을 교환할 수 있도록 시스템 구축 (장학재단의 ‘대학생 멘토링 관리시스템’ 등을 통해 운영) ◦ 장학재단과 대학은 멘토링 추진 상황 수시 점검 |
<표1> 2012년 지역별 멘티 추천안(단위 :명)
지역 |
다문화학생 (명) |
멘티 추천(안) |
멘토한도 및 참여대학 |
|
멘토한도 |
참여대학 |
|||
서울 |
5,804 |
440 |
440 |
서울교대, 서울기독대, 중대, 한대, 홍대 |
부산 |
1,685 |
290 |
290 |
동아대, 부산교대, 부산대, 부산외대 |
대구 |
1,015 |
640 |
640 |
계명대, 대구교대, 영남대 |
인천 |
1,943 |
250 |
250 |
경인교대, 인하대 |
광주 |
909 |
360 |
360 |
광주교대, 전남대 |
대전 |
760 |
130 |
130 |
목원대, 배재대 |
울산 |
526 |
20 |
20 |
울산과기대 |
경기 |
8,451 |
364 |
364 |
경인교대, 중대(안성) + 신흥대,안산대,대진대,경복대,안양대,평택대,한세대 |
강원 |
2,130 |
260 |
260 |
강원대, 춘천교대 |
충북 |
1,718 |
120 |
120 |
서원대, 청주교대, 충북대, 교원대 |
충남 |
2,588 |
270 |